티스토리 뷰
겨울철이 오면서 실내에서 생활이 늘어나고 있습니다.
숙박업 소라든지, 취약계층의 생활 속에서 빈대의 영향으로 인하여 많은 피해가 발생하고 있습니다.
스키의 계절이 왔죠!! 이제 곧 스키를 즐기는 모든 사람들이
스키장을 방문하리라 생각됩니다. 여러 사람들이 이용하는 시설인 만큼 주의가 필요합니다.
숙박업소에서 위생관리를 철저히 한다고 하여도 외부에서 유입되는 빈대를 막기는 어려운 게
사실입니다. 그렇지만 그런 빈대를 알고 대처한다면 그만큼 피해를 줄일 수 있습니다.
1. 빈대란?
노린재목 빈대과의 곤충으로 먹이(흡혈)를 하기 전에는
크기 약 5~6㎜정도이고 갈색이다. 먹이(흡혈)를 한 후에는 몸이 부풀어 오르고 붉은빛으로
몸의 색이 바뀝니다.
주로 침구류, 침대등에서 서식을 하며 야간 수면 중인 사람을 흡혈합니다.
2. 빈대에게 물리면 발생되는 증상 및 처리방법
◈ 가려움증을 유발하여 이차적 피부감염이 생기기도 한다.
(감염병을 전염시키지는 않으나, 물리면 가려움증 등 알레르기 증상이 있을 수 있음)
◈ 드물게 아나필락시스, 고열, 염증반응을 일으킨다.
(아나필락시스는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반응을 말한다.)
◈ 주로 야간에 흡혈하는 습성으로 인하여 수면 방해를 받는다.
◈ 물리면, 우선 물과 비누로 씻고, 증상에 따른 치료법 및 의약품 처방은 의사 또는
약사와 상의를 한다.
3. 빈대를 찾아내는 방법
빈대는 흡혈할 때만 잠시 나타났다 흡혈 후 어두운 곳으로 숨어버립니다.
◈ 주간 빈대 확인 방법
- 빈대의 물린 자국 : 2~3곳을 연달아 물어 일렬이나 원형으로 물린 자국이 생김.
- 빈대의 배설물(적갈색), 혈흔, 탈피나 허물흔적 확인
- 눈으로 찾아 직접적 확인, 빈대의 부산물이나 배설물등 흔적을 확인한다.
◈ 야간 빈대 확인 방법
- 어두운 방에서 손전등이나 강한 불빛을 낼 수 있는 기구를 이용하여 침대나 침대 주변을
비추어 보면 빈대는 숨기 위하여 움직이기 때문에 그 순간을 확인한다.
- 침대 모서리나, 침대 사이드 즉 구석 부분, 매트리스 사이사이를 집중적으로 확인한다.
4. 빈대 발견 시 방제방법
빈대를 확인하면 발견장소 주변으로 물리적 방제를 우선 실시하고
화학적 방제는 보조적으로 수행합니다.
◈ 물리적 방제 방법
- 스팀 고열을 밴대가 서식하는 가구 틈과 벽 틈에 분사
- 진공청소기를 이용하여 제거
- 오염된 침구류 등 50~60℃ 건조기에서 약 30분 저도 고온건조실시
◈ 화학적 방제 방법
- 환경부 승인 제품으로 살충제 처리(공기소독은 금지)
(분무 시 보호복과 보호장비 필요하며, 가정에서는 마스크 등 보호장비 착용 필수)
- 가열 연막이나 훈증(연막탄) 사용 금지
(숨어있던 빈대가 약제를 피해 다른 곳으로 이동하기 때문)
- 피부에 직접 닿는 의류, 매트리스 등 침구류에는 살충제 사용을 제외한다.
5. 빈대의 피해를 최소화하거나 예방하는 방법
◈ 숙박업소 방문 즉시, 빈대가 숨어 있을 만한 공간 확인
(침대, 매트리스, 소파 등 틈새, 벽면과 맞닿는 부분등)
◈ 빈대가 보이지 않더라도 여행용 짐은 바닥이나 침대에 보관을 피한다.
◈ 여행도중 숙박업소에서 빈대에 의한 피해를 입었다면, 여행용품의 철저한 소독이 필요하다.
- 여행 가방 및 소지품은 비닐백에 밀봉하여 보관하여 빈대의 유입을 차단
- 객실 내 빈대가 확인된 경우, 관리자를 즉시 호출하여 상황전달 및 새로운 객실요청
- 여행 복귀 시, 여행 가방은 침실과 격리된 장소에 보관
이제 스키장을 방문하는 여행객들이 늘어나는 시기입니다.
많은 사람들이 오고 가는 만큼, 위생에 취약할 수밖에 없는데요.
알고 있다면 충분히 빈대의 피해를 줄이거나 예방할 수 있습니다.
일상 속에서 비대를 확인하는 방법과 방지방법에 대하여 설명드렸습니다.
스키장 방문 시 숙지하신 방법을 생각하시고,
귀찮다 하여도 꼭 확인하는 습관으로
즐겁고 재미있는 추억이 가득한 여행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.